《장 미셸 바스키아: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적 기호들》
전시정보
본 전시는 루이스 웨인의 원작과 미공개 등 작품 100여 점의 원화가 최초로 소개된다. ‘큰 눈의 고양이 그림’으로 유명한 루이스 웨인(LOUIS WAIN, 1860.8.5.~1939.7.4.)은 영국을 대표하는 화가이다. 1880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루이스 웨인 고양이’는 센세이션을 일으키면 영국의 국민의 사랑을 받았다.
이런 명성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죽음과 비현실적인 성향으로 빈곤에 시달렸고 결국 강박적인 정신 장애를 겪다가 냅스버리에서 사망한다.
이번 전시에는 미디어아트를 추가하여 더 입체적인 볼거리를 제공한다. 친구와 가족 사이의 대화는 공감력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영양분이 될 것이며, 작가 루이스 웨인 작품의 핵심 요소이다.
Review 5
관람 후기를 남겨주세요!
내가 알고 있던 바스키아는 바스키아가 아니였다 너무나 천재적이고 추구하던 세계관도 뚜렷하고 많은 메세지들을 담아내고 있어 정말 천재적인 작가였구나 다시 한번 바스키아를 바라보게 했던 전시였다 이벤트 당첨으로 장 미셀 바스키아 전시를 보고 올 수 있어 넘 행복했었다 바스키아가 담은 뜻을 더 잘알아보고싶어 도슨트 시간에 맞춰 N차관람하러 가야지^^
장미셀 바스키아 작품속 기호가 궁금했는데, 숨은그림찾기 하듯 찾아보는 재미난 전시 좋았어요.^^
아이의 낙서처럼 보이지만 인종차별, 계급 투쟁,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등의 메시지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인 선, 강렬한 색채, 그리고 거친 질감 아프리카 예술, 해부학 도해, 고대 상징 그리고 현대 뉴욕
장 미셸 바스키아 전은 단순한 그래피티가 아니라, 기호로 언어를 만든 예술가의 기록처럼 느껴진 전시였습니다! 노트 페이지를 통해 낙서 같던 단어들이 어떻게 하나의 작품으로 확장되는지, 그의 사고 흐름이 생생하게 전해졌어요. 즉흥적인 표현같지만 ‘왕관’, ‘해골’, ‘단어의 교차’ 같은 상징들 속에는 인종과 권력, 사회 구조에 대한 고민을 엿볼수 있었어요. 바스키아를 단순히 ‘거리 예술가’로만 알고 있었다면, 이번 전시는 완전히 다른 시각을 열어줬던것 같아요. 좋은 기회에 좋은 전시 너무 잘봤습니다! 추천추천!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특별전시 <JEAN-MICHEL BASQUIAT, 장 미셸 바스키아> SIGNS: CONNECTING PAST AND FUTURE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적 기호들 2025. 09. 23- 2026. 01.31 EXHIBITION HALL 1. DDP MUSEUM 27세 클럽(The 27 Club) 27세 클럽은 27세에 요절한 세계적 예술가들을 일컫는 용어로, 음악·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적 재능을 보인 인물들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데서 유래한 용어(?)인데요. 지미 헨드릭스, 짐 모리슨, 커트 코베인, 제니스 조플린, 에이미 와인하우스 등 서구권 록스타들을 중심으로 한 클럽이지만 최근에는 영역(?)을 좀 확대해서 살펴 보기도 합니다. 그래서, 27세 클럽. 검은 피카소라 불리는 화가,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화가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1960~1988)입니다.